423페이지에 나눔고딕 폰트를 웹폰트로 지정하는 부분이 있는데요. 앞의 260페이지 사용 방법과는 조금 다른 부분이 있는데요. 423페이지에는 src:local('')이라고 되어 있고요. 제공되는 소스에서는 src:local('☺')이라고 되어 있는데요. 책과 제공소스 중에서 어떤 것이 맞게 사용하는 것인가요? 그리고 이것이 의미하는 뜻은 무엇인지 설명 좀 부탁드릴게요.
locla('☺') 이게 정확한 표현입니다.스마일리가 해주는 역할은 IE 또는 기타 브라우저에서 해당 글꼴을 다운받지 못하게 하기 위함입니다. 일종의 편법인데요. IE 또는 몇몇 브라우저에서는 ttf 파일이나 woff 파일은 해당 url에서 다운로드 하려고 시도를 하는데, local(‘…’) 부분에 특정 캐릭터 문자를 넣어주면 이 부분은 해석하지 않고 건너 뜁니다. 스마일리를 넣은 이유는 아마 특수 캐릭터 중에서 가장 재미있게 생겼기 때문 아닐까 생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