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P.296 의 소스에서 "이메일 확인"에 관한 소스 내용에서 보면
name이 mail_check인 텍스트필드와 name이 mail인 텍스트 필드를 비교하기 위해서
if($(this).val() && $(this).val()!=$("input[name"+$(this).attr("name").replace(/^(.+)_check$/, "$1")+"]").val()){
와 같은 코드를 사용하고 있는데요.
그냥 간단하게
if($(this).val() && $(this).val()!=$("input[name='mail']").val()){
와 같이 하면 될것 같은데요. 괜히 복잡하게 구성한다고 생각이 됩니다.
또한 P.297에 "그외의 필수 항목 체크"부분에서
if($(this).attr("checked")=="checked" && $("input[name="+$(this).attr("name").replace(/^(.+)$/, "$1_text")+"]").val()==""){
이 부분도
if($(this).attr("checked")=="checked" && $("input[name='etc_text']").val()==""){
와 같이 하면 될것 같은데요.
말씀하신 부분 개인 적인 소견에서 말씀드리겠습니다.
물론 독자분 말씀대로 간단한 처리도 가능합니다만, 위와 같은 부분도 전혀 쓸데 없는 구성은 아닙니다.
예를 들어서 mail 확인 뿐아니라 다른 폼에대한 체크가 필요한 부분이 반복적으로 사용된다 했을때
mail과 mail_check, name과 name_check 이런식의 비교도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런경우는 공통화 시켜 함수로 만든뒤 name만 갖고 중복호출 없이 한개의 함수를 사용할 수 있겠지요
여기서는 괜히 복잡한 구성일 수 있겠지만, 의미 없는 코드는 아니라고 할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