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눅스의 신을 통해 리눅스를 공부하고 있는 초보 유저입니다..
다름아니라 책을 통해 현재 윈도우에서 SSH 접속하는 방법에 대해서 진행중인데요.
제가 사용하고 있는 공유기는 LG U+를 사용하고 있습니다.
리눅스는 가상머신을 통해서 윈도우에서 돌리고 있는 중이구요.
포트번호와 SSH 서버설정은 우분투 VIM 에서 설정을 해놓고 책에서 나온 방법대로 제대로 작동하는지
ping 명령문을 통해서 확인은 진행을 해보았고 이상이 없었습니다.
다만 문제는 xshell에서 새로운 세션 등록시에 connection fail이 뜬다는 점입니다.
책에서는 호스트에 서버의 IP주소나 DDNS에 설정한 도메인 주소를 넣어주라고 작성이 되어 있는데,
저의 경우에는 공인 IP주소를 입력해도 connection fail 이 뜨고, 우분투에서 설정한 내부 IP 주소를 넣어도
connection fail이 뜨게 됩니다.
구글링을 하다 보니 LG U+ 공유기론 DDNS 설정이 불가하다고 하셔서 공인 IP 주소를 넣어본 것인데,
DDNS 설정이 되지 않아서인지 혹은 제가 어떠한 부분을 누락해서 자꾸 fail 이 뜨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드립니다.
호스트 윈도우에서 xshell로 우분투에 접속하려고 하신다는 거죠?
우분투와 윈도우가 같은 컴퓨터라는 가정을 하겠습니다.
아래 사항을 확인해보세요
1. 우분투내부에서 내부로 SSH서버 접속이 되는지 해보는겁니다. 이게 안되면 SSH 서버 동작 오류 입니다.
$ ssh localhost
2. 버추얼 박스 우분투 가상머신의 환경설정에 들어가서
네트워크 탭에서 어뎁터1이 "다음에 연결됨 : 브리지 어뎁터"
로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합니다
위 설정이 문제가 없다면,
우분투에서 $ ifconfig 명령을 입력한 후에 나오는 IP Address를 기억한후에
xshell에서 해당 IP주소로 접속해보세요.